AI가 촉발한 산업 격변기에는 주도적이고 헌신적인 조직문화가 큰 차이를 만듭니다. 리더십 연구에 따르면, 직원들은 ‘인간적으로 대해주고, 성장 기회를 주며, 공정하고 자율성을 보장하는’ 리더 아래에서 더 책임감 있게 일한다고 합니다. 하지만 이런 리더를 만나는 행운은 흔치 않지요. 우선 그런 사람들은 리더가 되기 어려우니까요.
대부분의 조직은 초·중급 관리자를 업무 성과 중심으로 선발합니다. 일 잘하는 사람을 잡기 위해 더 나은 보상책으로 제시되는 것이 승진입니다. 본부장이나 임원 선발 시점에서야 다면평가나 구성원 평판을 채점 기준에 추가합니다. 문제는 뛰어난 역량으로 승진한 리더일수록 머글들이 만든 평균 이하 결과물에 인내심을 유지하기 어렵고, 특히 그립을 세게 잡는 타입이라면 더더욱 구성원들을 위축시킨다는 점입니다. 결국 초기 커리어를 밀어준 추진력이 오히려 리더의 성숙을 막는 아이러니가 발생합니다.
이 딜레마를 풀기 위해선 커리어를 긴 호흡으로 바라볼 필요가 있습니다. 승진은 경쟁자를 누르고 얻는 자리가 아니라 그 역할에 가장 적합한 사람, 그러니까 평범한 직원을 인재로 육성하여 성과를 내는 마법사임을 인정받을 때 자연스럽게 따라오는 결과입니다.
모든 답을 아는 완벽한 부서장이 되기보다, 구성원들이 각자 CPU를 켜고 병렬적으로 움직이는 조직을 만드는 걸 목표로 해보세요. 지속가능한 성장은 조직으로 일할 때만 가능합니다. 그리고 승진이 좀 늦으면 어떻습니까. 사람을 키워내는 리더라면 언제나 기회가 있는 법이지요.
- 사내 승진은 못 해봤지만, 35년째 꾸준히 출근 중인 기대 드림 -
📣 ‘AI 시대, 한국형 기본법의 길을 묻다’ 토론회가 열립니다!
7월 28일 월요일 오전 10시 국회의원회관 제1세미나실에서, 정책 토론회가 열립니다.
요즘 AI 얘기 없이 하루를 보내기 어려울 만큼, 인공지능은 기술과 산업 전반의 흐름을 빠르게 바꾸고 있습니다. 그런데 이 거센 흐름을 따라가기 위한 ‘법’은 과연 준비가 되어 있을까요? 내년 1월, AI 기본법이 시행을 앞두고 있지만, 여전히 시행령과 가이드라인 등 핵심 세부 제도는 미비한 상황입니다. 최근 산업계 우려를 반영해 일부 규제 조항에 대한 유예 논의가 있었지만, 그 구체적인 적용 방식이나 범위도 아직 명확히 확정되진 않은 상황이죠. 이에, 이번 토론회에서는 AI 기본법의 시행 전 점검, 산업 진흥과 규제 균형의 새로운 설계, 우리 산업 현실에 맞는 제도 개선 방향에 대해 학계와 산업계가 함께 머리를 맞댑니다. 많은 관심과 참여 부탁드립니다.🧐
8월 12일 화요일 오후 7시 언주 &Space에서, '중동 ICT 생태계 컨퍼런스-AI 창업 및 투자자 중심으로-'가 열립니다.
최근 UAE와 사우디를 중심으로, 중동 지역의 ICT·AI 산업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습니다. '비전 2030', '디지털 경제 전략' 같은 국가 주도 정책 아래 투자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고, 한국 딥테크 스타트업을 향한 관심도 점점 높아지는 분위기죠.
이에 따라 글로벌 투자 유입은 물론, 한국 딥테크 스타트업에 대한 현지 관심도 빠르게 고조되고 있는데요 🧐
이번 행사는 이러한 변화의 최전선에서, 중동 AI·딥테크 시장의 구조와 흐름, 현지 진출 성공 사례와 투자 트렌드, 파트너십 전략, 규제 이슈, 네트워크 구축 노하우 등을 심도 있게 다루며, 한국 스타트업이 중동 시장에 어떻게 ‘스마트하게’ 진입할 수 있을지 함께 고민해보는 뜻깊은 시간을 가질 예정입니다!
또한 실제 진출 사례와 투자 흐름, 파트너십이나 규제 관련 정보도 공유될 예정이니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